Contents
카카오페이(377300)가 또 한 번의 성장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목표주가는 33,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2025년 하반기 흑자 전환이 예상되고 있다. 카카오페이의 실적 개선과 향후 전망을 자세히 살펴본다.
2024년 4분기 실적 분석: 예상보다 좋은 성과
카카오페이의 2024년 4분기 매출은 2,1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3% 증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1,927억 원)를 웃도는 결과다. 영업손실은 -330억 원을 기록했으나, 티몬/위메프 관련 일회성 비용(대손상각비 315억 원)을 제외하면 예상보다 적은 -9억 원 수준이다.
주요 실적 요인
- 결제 서비스 성장: 온라인 결제 성장 둔화(TPV 전년 대비 +1%)에도 불구하고, 해외 및 오프라인 결제(TPV +138%)가 강한 성장세를 보이며 총 결제 매출은 1,257억 원(+7.4%) 기록.
- 투자·보험 서비스 확대: 해외주식 거래 증가 및 환율 상승 효과로 투자 서비스 매출이 219.5% 급증. 보험 서비스와 대출 중개 서비스도 각각 +111.4%, +9.7% 성장하며 금융 서비스 매출은 840억 원 기록.
- 비용 증가: 영업비용은 전년 대비 33.9% 증가한 2,512억 원. 마이데이터 운영분담금 증가, 광고·마케팅 비용 증가(558억 원, +20.3%) 등이 주요 원인.
2025년, 흑자 전환 가능할까?
카카오페이는 2025년 하반기부터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성장 동력은 다음과 같다.
1. 보험 및 증권 서비스 확대
-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상품 라인업 확대(운전자보험, 휴대폰보험, 영유아보험 등)가 지속되며, 보험 매출 성장세 유지.
- 해외 주식 거래 활성화 및 투자 서비스 확대로 증권 매출이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2. 대출 중개 서비스 안정적 성장
- 2금융권 신용대출 증가와 대출 중개 서비스 다변화로 안정적인 매출 확대 기대.
- 2025년에도 대출 중개 매출은 꾸준한 성장세 유지 전망.
3. 오프라인·크로스보더 결제 확장
- 해외 결제 및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강화로 결제 매출 성장.
- 페이머니 결제 비중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 가능성.
투자 전략: 목표주가 33,000원, 상승 여력 12.8%
카카오페이의 목표주가는 33,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이는 현재 주가(29,250원) 대비 12.8% 상승 여력이 있다.
평가 근거
- 2025년 예상 매출액 9,135억 원 및 글로벌 간편결제 업체 PSR 평균 3.4배 적용.
- 순현금 가치 1.3조 원 반영.
리스크 요인
1. 금융 규제 강화
금융 당국의 규제 강화로 인해 대출 중개 및 보험 사업 확장에 제약이 생길 가능성 존재.
2. 경쟁 심화
네이버페이, 토스, 삼성페이 등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익성 개선 속도가 기대보다 늦어질 가능성.
3. 소비 심리 둔화
금리 인상 및 경기 불확실성으로 소비자들의 지출이 줄어들 경우 결제 및 금융 서비스 성장에 부정적 영향.
중장기 성장 가능성 충분
카카오페이는 단기적으로는 적자 기조를 유지하지만, 2025년 하반기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 보험·증권·대출 중개 등 금융 서비스 다각화와 오프라인 및 해외 결제 확장 전략이 실적 개선의 핵심 요인이 될 전망이다.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12.8%로 평가되며, 장기적인 성장을 고려할 때 투자 매력이 높은 종목으로 보인다. 하지만 금융 규제 및 경쟁 심화 등의 리스크를 감안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