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카카오와 오픈AI, 본격적인 협업 시작
카카오(035720)가 글로벌 AI 선도 기업인 오픈AI(OpenAI)와 손을 잡고 AI 네이티브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2025년 2월 4일, 카카오는 오픈AI와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및 AI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2024년 10월 ‘이프 카카오 2024’에서 공개된 AI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의 연장선으로, 카카오는 자사 AI 모델뿐만 아니라 외부 AI 모델의 API를 활용한 서비스를 적극 도입할 계획이다.
AI 모델의 활용 범위 확대
이번 협업을 통해 카카오는 카카오톡, 카나나(신규 AI 서비스), 모빌리티 등 다양한 서비스에 AI를 적용할 계획이다. 특히 오픈AI의 최신 모델을 카카오의 서비스에 접목함으로써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고 새로운 AI 기반 서비스를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
오픈AI뿐만 아니라 메타(Meta)의 라마(LLaMA), 구글(Google)의 제미나이(Gemini) 등 타사 AI 모델과의 협업 가능성도 언급되며, AI 활용 범위를 더욱 넓혀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AI 모델 비용 감소, 수익성 우려 해소될까?
AI 서비스 도입과 운영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최근 AI 모델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수익성 우려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다.
- 오픈AI는 2024년 1월 31일 o3-mini 모델을 무료로 출시하며 AI 가격 경쟁을 본격화했다.
- 구글은 2024년 1월 21일 제미나이 2.0 플래시 씽킹(Gemini 2.0 Flash Thinking) 모델을 베타 서비스 기간 동안 무료 배포했다.
- 오픈AI의 CEO 샘 알트먼(Sam Altman)은 챗GPT(ChatGPT) 요금 인상 계획이 없으며, 오히려 가격을 더 낮추고 싶다고 언급했다.
또한, 경량화 모델 도입을 통해 서비스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AI 모델 활용으로 증가하는 트래픽을 기반으로 구독 요금제 도입을 통한 수익성 확보도 가능할 전망이다.
카카오 AI 사업의 향후 시나리오
카카오는 오픈AI와 협업을 발표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서비스 방안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보다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될 것으로 기대된다.
1) 카카오톡 AI 도입
카카오톡은 이미 국내에서 가장 강력한 사용자 기반을 보유한 플랫폼이다. AI 모델을 적용할 경우, o3-mini 같은 경량화 모델을 활용한 챗봇 서비스나 콘텐츠 탭 개편 등의 형태로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2) 카나나(AI 서비스)와의 결합
카나나는 2024년 내 출시될 예정인 AI 서비스로, ‘카나’와 ‘나나’라는 AI 캐릭터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오픈AI 모델이 결합되면서, AI 검색 기능인 퍼블렉시티(Publicity)와 같은 검색 탭 추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3) 신규 AI 에이전트(AI Agent) 개발
카카오는 카카오맵,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AI 에이전트로 묶는 방식도 검토 중이다. 다만, 카나나 서비스가 아직 개발 단계에 있어 장기적인 전략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카카오 주가 전망과 투자 전략
카카오는 AI 사업 강화를 통해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지만, 단기적인 실적 개선은 아직 불확실한 상황이다.
목표 주가와 현재 주가
- 목표 주가(12개월): 50,000원
- 현재 주가(2025년 2월 4일 기준): 40,900원
현재 주가는 목표 주가 대비 약 22% 상승 여력이 있다.
주요 재무 지표
연도 | 매출액 (십억 원) | 영업이익 (십억 원) | 순이익 (십억 원) | EPS (원) |
---|---|---|---|---|
2024 | 7,902.3 | 507.6 | 278.7 | 737 |
2025 | 8,346.4 | 591.7 | 436.5 | 1,008 |
2025년에는 매출과 이익이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사업 확장과 구독 서비스 도입이 본격화되면 추가적인 실적 개선 가능성도 존재한다.
투자 판단
카카오는 오픈AI와 협업을 통한 AI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면서, 향후 성장성이 기대되는 종목이다.
- AI 도입이 본격화될 경우, 장기적으로 주가 상승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음
- AI 서비스 비용 절감 및 수익 모델 다변화로 재무 안정성이 개선될 가능성
- 구독 서비스 도입 등을 통한 수익성 개선 여부가 주가에 중요한 변수
현재 주가는 목표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존재하며, 중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매수(BUY) 의견을 유지할 만한 종목으로 판단된다.
카카오는 AI 네이티브 기업으로 변신할 수 있을까?
카카오는 이번 오픈AI와의 협업을 통해 AI 네이티브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AI 도입을 통해 기존 서비스의 고도화 및 신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AI 중심 기업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단기적으로 AI 서비스 비용 부담과 수익성 확보가 과제가 될 수 있으며, 실제 AI 서비스가 시장에서 얼마나 성공할지가 주가 흐름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AI 협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 카카오, 과연 AI 혁신을 이끌며 장기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