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한미약품(128940)은 최근 북경한미 경영권 분쟁과 실적 부진으로 주가가 하락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투자 매력이 여전히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목표주가는 기존 44만 원에서 38만 원으로 하향 조정되었지만, 투자의견은 여전히 ‘매수(BUY)’로 유지되었다. 이번 분석에서는 한미약품의 실적 현황, 북경한미 정상화 가능성, 그리고 R&D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향후 주가 전망을 살펴본다.
한미약품 2024년 실적 분석
한미약품의 2024년 예상 매출액은 1조 4,955억 원으로 전년 대비 0.3% 증가에 그쳤으며, 영업이익은 2,162억 원으로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3년 3분기부터 본격화된 북경한미의 실적 부진이 지속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북경한미는 2023년 기준 한미약품 연결 영업이익의 44%를 차지하는 주요 자회사로, 한미약품의 프리미엄 밸류에이션을 지지하는 핵심 성장 동력이었다. 그러나 경영권 분쟁이 시작되면서 영업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이는 실적 저하로 직결되었다.
다행히 2025년 초부터 경영권 분쟁이 해소될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북경한미의 정상화 여부가 한미약품의 주가 반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북경한미 정상화가 주가 회복의 열쇠
북경한미의 실적 부진이 한미약품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2023년 3분기 이후 북경한미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면서 한미약품의 기대 실적을 밑도는 결과가 지속되었다. 그러나 2025년 초 경영권 분쟁이 해결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는 주가 반등의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한미약품의 현재 주가는 역사적 저점 수준에 가까운 23만 8,000원(2월 4일 기준)으로, 북경한미 정상화와 함께 실적이 회복된다면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한미약품의 주가수익비율(PER)은 2025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 18.8배 수준이며, 이는 과거 평균 대비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북경한미의 실적 정상화가 확인될 경우, 한미약품의 주가는 빠르게 반등할 여지가 있다.
R&D 파이프라인 업데이트: 신약 개발 기대감
한미약품은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비만 및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MK-6024 (에피노페그듀타이드)
한미약품이 2020년 MSD(미국 머크)에 기술이전한 MASH(대사관련 지방간염) 치료제인 MK-6024는 글로벌 임상 2상이 진행 중이며, 2025년 말에 주요 임상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MSD는 글로벌 임상을 2건 추가 진행하고 있으며, 2024년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
에페글레나타이드
가장 앞서 개발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중 하나인 에페글레나타이드는 2025년 임상 완료 후, 2026년 하반기 국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
기타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
현재 전임상 및 초기 임상 단계에 있는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아직 기업가치에 반영되기에는 이른 단계로 평가된다. 향후 임상 데이터에 따라 추가적인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된다.
투자 전략 및 주가 전망
1. 단기적 투자 포인트: 북경한미 정상화 여부
한미약품의 단기적인 주가 모멘텀은 북경한미의 경영 정상화에 달려 있다. 2025년 초 경영권 분쟁이 해결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향후 몇 개 분기 내 북경한미의 실적이 개선된다면 주가 반등의 계기가 될 수 있다.
2. 중장기적 투자 포인트: 신약 개발 성과
MK-6024를 포함한 대사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은 한미약품의 장기적인 성장성을 결정짓는 요소다. 2025년 말 발표될 글로벌 임상 2상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기업가치 상승과 함께 목표주가 상향 조정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3. 목표주가 및 리스크 요인
현재 한미약품의 목표주가는 기존 44만 원에서 38만 원으로 하향 조정되었지만, 이는 보수적인 실적 전망을 반영한 것이다.
- 북경한미 정상화와 실적 회복이 가시화된다면 목표주가 회복 가능성이 크다.
- 반면, 북경한미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되거나 R&D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추가적인 주가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
지금이 한미약품 매수 기회일까?
한미약품은 최근 실적 부진과 경영권 분쟁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지만, 북경한미 정상화와 신약 파이프라인 가치가 반영될 경우 중장기적인 투자 매력이 높은 종목이다.
특히, 2025년 초 경영권 분쟁 해소 조짐과 2025년 말 신약 임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는 만큼, 현재 저평가된 주가 수준에서는 점진적인 매수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경한미의 실적 회복 속도와 R&D 성과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