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오션플랜트, 해상풍력 수주 증가로 반등할까?

By 라일락퍼플

SK오션플랜트, 2025년 실적 반등 기대

SK오션플랜트(100090.KS)의 2024년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밑돌면서 투자자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해상풍력 부문의 강한 성장세와 중장기적인 수주 전망을 고려하면 2025년부터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 목표주가는 30,000원으로 유지되었으며, 이는 현재 주가(12,150원) 대비 2배 이상 상승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글에서는 SK오션플랜트의 실적 부진 원인, 향후 성장 가능성, 그리고 투자 전략을 심층 분석해보겠다.

4분기 실적 부진, 그 원인은?

2024년 4분기 SK오션플랜트의 매출액은 1,623억 원, 영업이익은 23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매출액 2,001억 원, 영업이익 145억 원)를 크게 밑돌았다.
이러한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대만 하이롱 해상풍력 프로젝트 수주 차질
    예상했던 추가 수주 물량(15기)보다 적은 6기만 계약되면서 약 1,000억 원 규모의 매출 차질이 발생했다.
    대만 업체 측의 작업 지연으로 인해 매출 인식이 연기된 것도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

  2. 작업 방식 변경으로 인한 매출 지연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을 바지선에 싣는 크레인의 임대 계약이 종료되면서 작업 방식이 변경되었고, 이에 따른 매출 인식 속도가 늦어졌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를 크게 밑돌았으나, 이는 단기적인 충격에 불과하며 2025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2025년 전망: 해상풍력 수주 확대

SK오션플랜트의 2025년 매출액은 1조 508억 원, 영업이익은 543억 원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각각 59%, 31%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적 개선의 주요 원인은 해상풍력 부문의 강한 성장세다.

1. 해상풍력 수주, 2배 이상 증가 전망

올해 해상풍력 부문에서 약 1조 원 규모의 신규 수주가 예상된다.
이는 2024년 해상풍력 수주(약 4,500억 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준으로, 주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국내 안마도 해상풍력
  • 대만 웨이란하이 해상풍력
  • 유럽 초대형 해상변전소 프로젝트

특히 국내 해상풍력 시장의 연간 입찰 규모가 1.5~2GW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SK오션플랜트의 지속적인 수주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 마진율 높은 해상풍력 매출 증가

2024년 대비 해상풍력 매출이 3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특수선 부문의 매출이 2024년 3,603억 원에서 2025년 6,650억 원으로 증가하면서 전체 영업이익률이 다소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수익성이 높은 해상풍력 부문이 성장하면서 전체 영업이익 규모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3. 트럼프 리스크 無, 안정적인 사업 구조

SK오션플랜트는 현재 미국 매출이 전혀 없고, 대만, 한국, 일본을 주요 시장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치 리스크(트럼프 당선 가능성)와 무관한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대만과 한국의 해상풍력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일본 또한 해상풍력 개발을 확대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다.

SK오션플랜트 주가, 어디까지 오를까?

현재 SK오션플랜트의 주가는 12,150원으로, 목표주가(30,000원) 대비 2배 이상 상승 여력이 있다.
2025년 실적 개선이 가시화되면서 주가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크다.

투자 포인트

  1. 해상풍력 수주 확대 → 2024년 대비 2배 증가 전망
  2. 수익성 높은 해상풍력 부문 성장 → 영업이익 확대 예상
  3. 미국 시장과 무관한 안정적인 사업 구조 → 트럼프 리스크 無
  4. 2025년 실적 반등 가능성 → 매출 +59%, 영업이익 +31% 성장 전망

리스크 요인

  1. 대만 프로젝트 추가 지연 가능성
    • 기존 하이롱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연 이슈가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2. 작업 방식 변경으로 인한 비용 증가
    • 크레인 임대 종료로 인해 작업 효율성이 낮아질 경우,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3. 특수선 부문 매출 증가로 인한 영업이익률 하락
    • 특수선 부문의 마진율이 낮아 전체 영업이익률이 5.2%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SK오션플랜트, 2025년 반등 기대

현재 SK오션플랜트는 4분기 실적 부진으로 주가가 저평가된 상태지만, 2025년부터 해상풍력 수주 확대와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
목표주가 30,000원을 감안하면 현재 가격대에서 중장기 투자 매력이 높아 보인다.

다만, 대만 프로젝트 지연 가능성 등 리스크 요인도 존재하므로 수주 상황과 영업이익률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