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반등 가능할까? 2025년 실적 전망과 투자 전략

By 라일락퍼플

포스코퓨처엠(003670)의 실적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2025년에는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주가(2025년 2월 3일 기준) 129,000원 대비 목표주가 210,000원으로 상승여력이 62.8%로 제시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과연 포스코퓨처엠이 하반기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요 실적 데이터와 향후 전망을 분석해보자.

4분기 실적 부진, 원인은?

포스코퓨처엠의 2024년 4분기 실적은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다.

  • 매출액: 7,232억 원 (-21.6% QoQ, -36.9% YoY)
  • 영업이익: -413억 원 (적자 전환)

특히, 양극재 부문에서 불용재고 평가손실이 약 213억 원 발생하며 영업적자를 확대시켰다. 3분기에 223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 데 이어 연속적인 타격을 입은 것이다. GM의 전기차(EV) 생산 감축으로 N86 출하량이 감소했으며, N65 판매 부진도 이어졌다. 반면, NCA 물량 확대가 있었으나 전체적인 실적을 만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음극재 부문 또한 FEOC(전기차 배터리 원재료 관련 규제) 적용 유예로 인해 수요 부진이 지속되며 가동률이 하락했고, 고정비 부담이 커지면서 적자를 기록했다.

자산손상차손 4,000억 원, 순적자 확대

4분기에는 자산손상차손 4,000억 원을 인식하면서 순손실이 더욱 확대됐다.

  • 중국 절강포화 법인: 926억 원 손상차손
  • 국내 양·음극재 공장 노후 설비: 3,033억 원 손상차손

이로 인해 당기순손실이 -2,660억 원까지 확대되었으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졌다.

2025년, 실적 반등 가능할까?

2025년부터는 GM 재고조정이 해소되면서 점진적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

  • 매출액: 4조 3,430억 원 (+17.4% YoY)
  • 영업이익: 1,153억 원 (흑자 전환)
  • 양극재 출하량 성장률 가이던스: +30% 예상

핵심 포인트

  1. NCA와 N87 중심의 성장

    • N65와 N86 판매 부진이 지속되지만, NCA와 N87 제품군의 출하량 증가가 예상된다.
    • GM의 재고조정이 3분기부터 해소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N86 판매 회복 기대.
  2. 음극재 부문, 여전히 불확실성 존재

    • FEOC 확정 전까지는 낮은 가동률과 적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 다만, 금속 가격 안정화로 인해 재고평가손실 가능성이 낮아질 전망.
    • 이에 따라 에너지소재 사업부의 영업이익률(OPM)은 2.7%로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
  3. CAPEX(설비투자) 계획 유지

    • 2025년 CAPEX는 1.3조~1.7조 원으로 기존 전망을 유지.
    • 양극재 생산 능력(CAPA)은 2024년 18.5만 톤 → 2025년 31.5만 톤으로 확대.

포스코퓨처엠의 목표주가, 적정한가?

목표주가 하향 조정 (340,000원 → 210,000원)

포스코퓨처엠의 목표주가는 기존 34만 원에서 21만 원으로 하향 조정되었다. 이는 GM의 전기차 생산 가이던스 축소, 관세 부담 등 추가적인 리스크를 반영한 결과다.

  • 현재 주가: 129,000원
  • 목표 주가: 210,000원
  • 상승 여력: +62.8%

포스코퓨처엠의 PER(주가수익비율)은 2025년 기준 198.4배로, 동종업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EV/EBITDA 비율은 37.6배로 비교적 안정적이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성장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경쟁사 대비 밸류에이션 비교

기업명 PER(2025F) PBR(2025F) EV/EBITDA(2025F) ROE(2025F)
포스코퓨처엠 198.4배 4.8배 37.6배 2.4%
에코프로비엠 542.4배 8.6배 46.4배 0.6%
엘앤에프 1,621배 3.7배 40.2배 -0.7%
LG화학 11.4배 0.5배 4.0배 4.0%

포스코퓨처엠은 동종업계 대비 PER이 다소 높은 편이지만, EV/EBITDA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다. 이는 현재 주가가 실적 대비 고평가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향후 실적 개선 가능성이 반영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투자 전략: 지금이 매수 기회인가?

포스코퓨처엠의 현재 주가는 52주 최저가(126,900원)에 근접해 있다. 하지만 2025년 실적 회복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 전략을 고려할 만한 시점이다.

매수 타이밍 고려 요소

  • 단기적 리스크

    • 1~2분기 실적은 여전히 부진할 가능성이 큼
    • GM 재고조정이 완전히 해소되기 전까지 단기 변동성 존재
  • 중장기적 성장성

    • 3분기부터 실적 회복 기대
    • 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배터리 소재 수요 증가 전망
  • 목표주가 기준 상승여력 62.8%

    • 현재 주가 대비 충분한 상승 여력이 존재

3분기 이후 반등 기대, 분할 매수 전략 유효

포스코퓨처엠의 단기 실적 부진은 불가피하지만, 2025년 하반기부터는 반등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따라서 단기 변동성을 고려해 분할 매수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유효해 보인다.

특히, GM의 재고조정 해소 시점인 3분기 이후를 목표로 한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면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가격이 저점 구간임을 감안할 때, 포스코퓨처엠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면서 매수 기회를 노리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