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C에너지, 발전 부문 둔화 속 건설/부동산 성장 지속

By 라일락퍼플

SGC에너지(005090)의 2024년 4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하회했지만, 건설/부동산 부문의 긍정적인 흐름이 유지되면서 향후 실적 회복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SGC에너지의 최신 실적과 전망을 분석하고, 향후 주가 흐름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4분기 실적: 발전 부문 부진, 건설 부문 성장

SGC에너지의 4분기 매출액은 6,4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85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5.0% 증가했지만,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수준이었다.

  • 발전/에너지 부문: SMP(계통한계가격) 하락과 정비 일정 조정으로 인해 매출이 감소했다.
  • 건설/부동산 부문: 해외 플랜트 매출 인식이 본격화되면서 성장세를 유지했다.
  • 유리 부문: 전년 대비 20.9% 증가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특히 SMP 하락(1월 기준 117원/kWh, 전년 대비 -15.1%)이 발전 부문에 부담을 주었으며, 2월에도 유사한 수준이 예상된다. 하지만, 원재료 가격 측면에서 유연탄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 비용 부담이 일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책 변화와 REC 시장 영향

SGC에너지의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관련해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시장 변동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 바이오매스 REC 가중치 축소 정책이 추진되며, 2026년 1월부터 일부 설비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REC 가중치가 최대 15%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 2025년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의무비율이 14.0%로 상향되면서 REC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 2024년에는 REC 현물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했으나, 2025년에는 수요 증가로 가격 반등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SGC에너지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가 전망: 목표주가 38,000원, 상승 여력 충분

SGC에너지는 목표주가 38,000원을 유지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현재 주가는 23,050원(2월 4일 기준)으로, 목표주가 대비 65% 이상의 상승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투자 지표

  • 2025년 예상 PER: 3.6배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 2025년 예상 PBR: 0.4배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 배당수익률: 연간 1,700원 배당 유지

현재 주가는 낮은 밸류에이션을 반영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상승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향후 투자 포인트

  1. 발전/에너지 부문의 실적 정상화

    • SMP 하락이 1분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환율과 전력 수급 변화에 따라 2분기부터 회복 가능성이 있다.
    • 원재료 가격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면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2. 건설/부동산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

    • 해외 플랜트 매출이 본격화되면서 건설 부문이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다.
    • 2025년 공정률 상승에 따른 이익 증가가 예상된다.
  3. REC 시장 및 정책 변화 모니터링

    • 바이오매스 REC 가중치 축소 정책이 2026년부터 시행되므로, 이에 따른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 2025년 RPS 의무비율 상향 조정으로 REC 가격 회복 가능성이 있다.

저평가된 주식, 중장기 투자 매력적

SGC에너지는 발전 부문의 일시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건설/부동산 부문의 성장성과 REC 시장 변화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다. 낮은 밸류에이션과 배당 매력을 고려할 때, 현재 주가는 매수 기회로 보인다. 향후 SMP 반등과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에 주목하며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