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엘앤에프(L&F)가 2024년 실적 부진을 겪었지만, 2025년에는 본격적인 반등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이니켈 출하량 증가, 유럽 배터리 시장 회복, 그리고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리스크 완화 등이 실적 개선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현재 주가는 83,100원(2월 5일 기준)이며, 목표주가는 140,000원으로 설정되어 있어 상승 여력은 68.5%에 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엘앤에프의 최근 실적과 향후 전망을 집중 분석해 보겠습니다.
2024년 4분기 실적 부진, 원인은?
엘앤에프는 2024년 4분기 매출 3,653억 원, 영업적자 1,498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습니다. 이는 △메탈 가격 하락으로 인한 역래깅 효과 △NCM523 중심 원가율 상승 △478억 원 규모의 재고자산 평가손실 때문입니다.
- ASP(평균 판매단가): -5% QoQ(전 분기 대비), 메탈 가격 하락 지속과 리튬 도급 조정 영향
- 출하량: +11% QoQ, NCMA95 출하 증가
- ESS(에너지저장장치) 부진: LFP(리튬인산철) 전환으로 NCM523 수요 감소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엘앤에프는 컨센서스(시장 예상치)보다 큰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025년, 하이니켈 출하 증가로 실적 회복 기대
2025년 엘앤에프의 매출은 2.7조 원(+39.5% YoY), 영업이익은 509억 원(흑전 YoY)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회복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이니켈 출하량 반등
- 4분기부터 출하량이 회복된 46-Series NCMA95가 매출을 견인
- 2분기부터 신형 2170 배터리 출하 시작 → 출하량 증가 예상
-
유럽 전기차 시장 회복
- 유럽 배출 규제 리스크 지속 → Re-stocking(재고 확충) 수요 발생
- LFP ESS 부진을 유럽향 배터리 판매 증가로 상쇄
-
원가 부담 완화
- 리튬 가격 안정화 → 추가적인 판가 하락 가능성 제한
- CAPA(생산능력) 증설 없이 가동률 정상화로 고정비 부담 개선
이러한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엘앤에프의 영업이익률(OPM)은 2024년 -26.8%에서 2025년 2.1%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IRA 리스크 완화, 신규 고객사 확보 가능성
엘앤에프는 2026년부터 LFP 신규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약 3,000억 원 규모의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며, 2027년 제품 포트폴리오는 하이니켈 75%, 중저가(LFP 포함) 25%로 구성될 전망입니다.
특히,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될 경우, 신규 고객사 확보 가능성이 커집니다. 현재 엘앤에프는 △테슬라 △LG에너지솔루션 △SK온 △유럽 배터리 업체 등과 협력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과 협력할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엘앤에프의 주요 수주 현황
엘앤에프는 대형 배터리 기업들과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고객사 | 계약 금액 (조 원) | 수량 (톤) | 계약 기간 |
---|---|---|---|
테슬라 | 3.8 | 94,957 | 2024~2025 |
SK온 | 13.2 | 300,000 | 2024~2030 |
유럽 배터리社 | 9.2 | 414,592 | 2025~2030 |
2025년부터 유럽 배터리 업체향 출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가 전망: 140,000원 목표가, 상승 가능성은?
현재 엘앤에프의 주가는 83,100원이며, 목표주가는 140,000원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주요 밸류에이션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예상 PER: 67.7배 (흑자전환 예상)
- 2025년 예상 PBR: 3.9배 (2024년 4.1배 대비 하락)
- 2025년 예상 OPM(영업이익률): 2.1% (2024년 -26.8% 대비 대폭 개선)
이는 주가가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면서 점진적인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엘앤에프, 2025년 반등 가능성 충분
엘앤에프는 2024년 어려운 한 해를 보냈지만, 2025년에는 하이니켈 출하 증가와 유럽 시장 회복을 기반으로 실적 반등이 기대됩니다. 또한, IRA 리스크 해소 후 신규 고객사 확보 가능성이 열려 있어 장기적인 성장도 유망합니다.
- 단기적 투자 포인트: 출하량 반등, 유럽 시장 회복, 판가 안정
- 중장기적 투자 포인트: LFP 사업 확대, 신규 고객사 유입, IRA 리스크 완화
현재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 상태로 볼 수 있으며, 목표주가 140,000원을 고려할 때 68.5%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단, 배터리 업황과 글로벌 전기차 시장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으므로 중장기적인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