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4분기 실적, 기대에 못 미쳤다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의 2024년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매출액은 9,3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109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매출은 컨센서스와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 아쉬운 점이다.
영업이익 하락의 주요 원인은 ▲판매 믹스 악화(-240억 원) ▲판가 및 DC 효과 축소(-170억 원) ▲리테일 프로모션 비용 증가 ▲신제품 개발 비용 증가 등으로 분석된다.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요소지만,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다.
2025년 전망: 공격적인 가이던스, 현실 가능성은?
HD현대인프라코어는 2025년 매출액 목표를 4조 8,048억 원(YoY +16.8%), 영업이익 목표를 2,335억 원(YoY +26.8%)으로 제시했다. 시장 전체 판매대수 전망(YoY 기준)은 신흥국 및 한국 -8%, 북미 및 유럽 -2~4%, 중국 +10%로 다소 보수적으로 설정되었으나, 각 시장별 매출 성장률 전망치는 ▲신흥국 및 한국 +8% ▲북미 및 유럽 +25% ▲중국 +81%로 매우 공격적이다.
이처럼 공격적인 매출 성장 전망이 현실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지만, 영업이익 목표(OPM 4.9%)는 비교적 보수적으로 설정되었다. 주요 사업 부문의 영업이익률 목표는 ▲건설기계 3.4% ▲엔진 9.3%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선진국 소형 장비 및 중국 휠 로더 판매 확대(매출 증가) ▲방산(K2 전차) 및 발전기용 엔진 수요 증가 ▲신기종 개발(DX05/08 등)에 따른 감가상각 반영 등을 고려한 수치다.
당사 추정치에 따르면, 2025년 실적은 매출액 4조 4,692억 원(YoY +8.6%), 영업이익 2,337억 원(YoY +26.9%)으로 전망된다. 신흥국 시장은 여전히 보수적으로 보고 있지만, 북미 시장(딜러 재고 30% 이상 감축)과 중국 시장(중대형 장비 교체주기 도래, 수출 전략 확대)에서 추가적인 성장 가능성이 존재한다.
투자 전략: 반등 가능성 주목
HD현대인프라코어의 투자의견은 “Buy(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9,000원으로 설정되었다. 현재 주가(2월 4일 종가 기준) 7,530원을 고려할 때 상승 여력은 19.5%에 달한다.
투자 포인트
-
실적 저점 통과 가능성
- 딜러 재고 감축이 완료되며, 2025년부터 실적 회복 가능성이 높아짐.
-
엔진 부문 성장 전망
- 군산 엔진공장 신설을 통한 성장 모멘텀 확보.
- 2024~2029년 엔진 부문 매출 연평균 성장률(CAGR) +12% 전망.
-
북미 및 중국 시장 성장 기회
- 북미: 재고 조정 완료 후 수요 회복 가능성.
- 중국: 중대형 장비 교체 수요 및 수출 전략 확대.
리스크 요인
- 건설기계 시장의 변동성
- 중국 시장의 정책 변화 및 경기 둔화 가능성
- 신흥국 시장에서의 수요 약세
중장기 성장 가능성에 주목
HD현대인프라코어는 2024년 4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2025년 이후 실적 회복 가능성이 크다. 딜러 재고 감축이 마무리되면서 시장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엔진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과 북미·중국 시장에서의 기회가 긍정적인 요소다.
현재 주가 대비 목표주가의 상승 여력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해 보인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시장 변동성과 건설기계 수요 불확실성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