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인프라코어, 2025년 반등 기대…지금이 매수 타이밍일까?

By 라일락퍼플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는 2024년 실적 부진을 겪었지만, 2025년에는 미국 제조업 CAPEX(설비투자) 증가 등의 요인으로 회복이 예상된다. 현재 주가는 7,530원(2월 4일 기준)이며, 목표 주가는 9,4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그렇다면 지금이 매수 타이밍일까? HD현대인프라코어의 실적 분석과 전망을 살펴보자.

2024년 4분기 실적: 시장 기대에 못 미친 이유

HD현대인프라코어의 2024년 4분기 매출은 9,38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09억 원으로 적자 전환하며 시장 기대(영업이익 375억 원)를 크게 밑돌았다.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판매 물량 감소: 전년 동기 대비 물량과 제품 믹스 효과 -240억 원
  • 가격 및 판가 조정 영향: -170억 원
  • 물류비 및 변동비 증가: -138억 원
  • 환율 효과: -9억 원

고정비 절감(+308억 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출 감소와 비용 증가로 인해 실적이 악화되었다.

지역별 실적 분석: 선진시장과 신흥시장의 엇갈린 흐름

1. 선진시장(북미·유럽)

  • 매출 감소(-25%)의 주요 원인은 금리 인하 지연과 경기 부진으로 인한 구매 이연.
  • 2025년에는 미국 대선 불확실성 해소 후 인프라 및 리쇼어링(제조업 본국 회귀) 모멘텀이 강화될 전망.
  • 유럽도 추가 하락은 제한적이며, 금리 인하 시점 이후 본격적인 수요 반등 예상.

2. 신흥시장 및 한국

  • 2024년 매출 -9% 감소.
  • 사우디아라비아 건설 시장 조정, 러시아 제재 영향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 그러나 인도, 인도네시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시장 성장이 일부 부진을 상쇄.
  • 2025년에도 글로벌 긴축과 환율 변동성이 부담 요인이지만, 광물·석유 자원 부국(호주, 인도네시아, 남아공, 튀르키예 등)의 성장세가 긍정적.

3. 중국 시장

  • 지방정부 주도의 농촌 개발 프로젝트에 힘입어 소형 장비 중심의 매출 성장(+2%).
  • 2025년에는 정부 주도의 인프라 및 부동산 부양책 기대감이 확대되며 시장 회복 가능성.
  • 2026년에는 건설 장비 교체 주기가 도래하면서 중형 이상 장비로도 성장 확대 전망.

4. 엔진 사업

  • 글로벌 경기 둔화로 전체 수요는 -2% 감소했지만, 북미 가스 발전, 친환경 선박, 방산 시장의 성장으로 견조한 흐름 유지.
  • 2025년에는 북미 가스 발전 확대, 방산 시장 성장, E-Powerpack 양산 본격화로 매출 및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

2025년 실적 전망: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기대

연도 매출(십억 원) YoY(%) 영업이익(십억 원) 영업이익률(%)
2022년 4,756 3.5% 333 7.0%
2023년 4,660 -2.0% 418 9.0%
2024년E 4,114 -11.7% 184 4.5%
2025년E 4,584 11.4% 226 4.9%
2026년E 5,141 12.1% 346 6.7%

2025년에는 매출이 전년 대비 11.4% 증가한 4,584억 원, 영업이익은 226억 원으로 22.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판단: 목표주가 9,400원, 매수 기회일까?

1. 목표주가 상향: 8,200원 → 9,400원

  • 12개월 선행 주당순자산가치(BPS)와 PBR을 적용하여 목표주가를 9,400원으로 상향 조정.
  • 이는 현재 주가(7,530원) 대비 약 25% 상승 여력이 있음.

2. 밸류에이션 및 투자 지표

지표 2023년 2024년E 2025년E 2026년E
EPS(원) 1,158 448 614 1,045
PER(배) 7.0 15.4 12.3 7.2
PBR(배) 0.9 0.7 0.7 0.7
ROE(%) 13.4 4.8 6.2 10.0
  • 2024년 PER 15.4배에서 2025년 12.3배로 개선 예상.
  • 2025년 실적 반등과 함께 ROE 상승 전망(4.8% → 6.2%).

3. 리스크 요인

  • 미국 금리 인하 시점 지연: 금리가 충분히 인하되기 전까지 경기 회복이 더딜 가능성.
  • 중국 시장 불확실성: 정부 정책에 따른 부양 기대는 있지만,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
  • 환율 변동성: 원화 강세가 진행되면 수출기업에 부담.

2025년 기대감 상승, 분할 매수 전략 추천

HD현대인프라코어는 2024년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2025년에는 미국 제조업 CAPEX 증가, 선진국 경기 회복, 신흥시장 성장세 지속 등의 요인으로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

현재 주가는 7,530원으로 목표주가(9,400원) 대비 약 25% 상승 여력이 있다. 다만,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질 경우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분할 매수 전략을 추천한다.

향후 미국 경기 및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며, 2025년 상반기 이후 본격적인 실적 개선을 기대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