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서론
LX인터내셔널의 2024년 4분기 실적 전망이 발표되었습니다. 석탄 부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물류 부문에서의 강세가 이를 상쇄하며, 전체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 수준을 충족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LX인터내셔널의 실적 전망, 주주 환원 정책, 그리고 투자 전략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4분기 실적 전망: 컨테이너 시황이 반등을 주도
2.1 영업이익 1,187억 원 전망
LX인터내셔널의 2024년 4분기 영업이익은 1,187억 원으로 예상되며, 시장 컨센서스(1,201억 원)와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보입니다.
- 자원 부문: 석탄 가격 하락과 폐석 처리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53% 감소한 142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팜과 니켈 시장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물류 부문: 컨테이너운임(SCFI)이 예상보다 강하게 반등하고 있어, 물류 부문이 전체 실적을 견인할 전망입니다.
- 트레이딩 부문: 패널(디스플레이) 물량 감소가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환율 상승의 긍정적 영향도 헷지로 인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2.2 컨테이너운임 반등과 미국 항만 파업 영향
컨테이너운임 지수(SCFI)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에서 반등하고 있으며, 미국 항만 파업 가능성으로 인해 조기 선적 수요가 급증하면서 물류 부문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미국 항만 파업이 장기화된다면, 추가적인 물류 실적 향상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주주 환원 정책: 언제 발표될 것인가?
LX인터내셔널은 최근 3년간 평균 27%의 높은 배당 성향을 유지해 왔으며, 2020~2022년 동안 397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2025년의 구체적인 주주 환원 정책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 배당수익률은 6.3%로 예상되며, 이는 시장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 향후 신사업 투자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보다 적극적인 주주 환원 정책이 발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투자 전략: 저평가된 주가, 반등 가능성은?
4.1 목표주가 37,000원, 상승 여력 37.5%
LX인터내셔널의 목표주가는 37,000원으로 유지되었으며, 현재 주가(1월 7일 기준 26,900원) 대비 상승 여력은 37.5%입니다.
- 2024년 주가는 연고점 대비 -22% 하락한 상태입니다.
- 주요 원인은 주주 환원 정책 미발표와 3분기 이익 피크 가능성에 대한 우려입니다.
- 하지만 2025년 물류 및 석탄 부문의 안정적인 실적이 확인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점진적인 주가 반등이 기대됩니다.
4.2 밸류에이션: 저평가된 상태
현재 LX인터내셔널의 밸류에이션을 살펴보면, 동사는 2024년 예상 PER(주가수익비율) 3.1배, 배당수익률 6.3%로 저평가 상태입니다.
- KOSPI 평균 PER(10.4배)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 안정적인 배당을 고려했을 때, 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인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5. 2025년 실적 전망 및 리스크 요인
5.1 2025년 실적 전망
2025년 LX인터내셔널의 실적은 물류와 석탄 부문 중심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물류 부문: 컨테이너 시황 반등이 지속되면서 상반기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 자원 부문: 폐석 처리 비용이 해소되면서 채광량 확대와 함께 실적 반등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트레이딩 부문: 패널 수요 둔화와 니켈 부문의 투자 지연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5.2 리스크 요인
- 석탄 가격 변동성: 친환경 에너지 전환 기조 속에서 석탄 가격 하락이 지속될 경우 실적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미국 항만 파업 장기화 여부: 단기적으로 물류 부문에는 긍정적이지만,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심화될 경우 예상과 다른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주 환원 정책 지연: 기대했던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 정책이 지연될 경우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6. 매수 유지, 주가 반등 가능성 높아
LX인터내셔널은 현재 저평가된 주가, 높은 배당수익률, 안정적인 실적 전망이라는 3가지 투자 매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충족할 것으로 보이며, 컨테이너 시황 반등이 주요 모멘텀이 될 전망입니다.
- 2025년에도 물류 및 석탄 부문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실적이 예상됩니다.
- 배당수익률 6.3%를 감안하면 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긍정적이며, 주주 환원 정책 발표가 이루어진다면 주가 상승의 추가적인 동력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목표주가 37,000원을 유지하며, 매수 의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인 전략으로 보입니다.